'우유병떼기'에 해당되는 글 1건

 

 

 

우유병 떼기 언제 해야 할까요?  제 때에 우유병을 떼면 어떤 문제점이 생길까요?

적합한 시기는 컵과 숟가락으로 먹들 준비가 되어 있어 이유식을 먹기 시작할 때입니다. 이유식은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해 준다는 의미도 있지만 씹는 방법을 배우고 새로운 음식을 먹도록 하여 올바른 식습관을 기르도록 해 주기도 합니다.

 

 

생후 4개월 정도면 이유식을 시작하는데 이 시기부터 조금식 우유병 떼기를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늦어도 돌이 지나면 우유병 무는 버릇을 고치는 것이 좋습니다.  우유병을 떼려면 아이들은 울면서 버팁니다. 이럴때 엄마들은 마음이 아파서 다시 물려 주는 경우가 많은데 단호하게 대처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기가 울면 안 먹더라도 다시 우유병을 주어서는 안됩니다.

 

 

 

 

 

 

 

 

우유병을 제때에 떼지 못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은 아기가 우유만 먹으려 하고 밥을 먹지 않으려고 한다는 것이니다. 그럴경우 충분한 영양분을 섭취하지 못해서 성장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또한 우유병을 늦게 떼면 의존심이 강해지고 고집이 세지고, 유치가 나는 시기에 물고 있으면 이빨이 나는 모양도 이상해집니다. 입 안에 남아 있는 우유 성분 때문에 치아가 잘 썩고 턱 모양도 바뀌게 됩니다.

 

 

 

 

생후 6~12개월 : 본격적인 이유식 시기 입니다. 이 시기에 아기는 씹고, 말하고, 삼키는 데 쓰이는 근육을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 먹는 법을 가르치는 것이 좋습니다. 6개월 부터 컵에다 분유난 다른 액체를 한 모금씩 주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훈련하는 것이 힘들어 지기도 하는데 이때는 빨대가 달린 컵에 담아서 먹도록 하면 아이도 부담을 덜 느껴서 좋습니다. 9개월 부터는 손에 힘이 생겨서 컵을 잡을 수 있습니다. 혼자서 먹으려고 하는데 그냥 도와주시면 됩니다. 이유식은 항상 컵이나 그릇에 담아 주어서 양을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유병에 주던 횟수를 줄이면서 컵이나 그릇으로 주는 횟수를 늘리시기 바랍니다.

 

 

 

 

생후 12개월 이상 : 우유병 떼기를 바로 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를 넘어가면 밥을 먹지 않기 때문에 올바를 식사습관을 만들 수 없습니다. 컵이나 그릇을 이용해서 밥을 먹을 수 있도혹 해야 하며 계속 거절을 할 경우에도 마음이 약해지시면 안됩니다. 아기가 자기마음대로 할 수 없다는 것을 배우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첫아기 키우기> 참고했습니다.

 

 

 

 

블로그 이미지

하로의 금융

행복하게 돈을 쓰는 것을 목적으로 재무상담과 보험상담을 하고 있습니다 010 6866 5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