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상장지구간접투자기구
상장지수간접투자기구인 ETF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ETF의 개념 및 장점
ETF란 유가증권에 관하여 그 종류에 따라 다수 종목의 가격수준을 종합적으로 표시하는 지수(대통렬렬이 정하는 요건을 갖춘 지수)의 변화에 연동하여 운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간접투자기구를 말한다. ETF는 기본적으로 유가증권지수의 추적을 목표로 인덱스펀드의 일종이지만 전통적인 인덱스펀드의 단점을 제도적으로 보완한 특수한 형태의 인덱스펀드입니다. 전통적인 인덱스폰드는 개방형펀드로서 투자자들의 환매요구에 응하기 위한 펀드보유자산의 처분과 매입에 따를 지수추적오차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를 제거하기 위해 ETF는 일정단위 이상의 유가증권 실물 설정과 환매를 할 수 있게 하는 한편, 간접투자증권을 시장에 상장하여 일반투자자들은 시장에서 간접투자증권을 매수/매도 하도록 합니다.
ETF 는 주식 직접투자와 인덱스펀드의 장점을 합친 펀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장에서의 ETF의 가격 중직음을 기준으로 투자판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투자판단과 실행의 시차가 없습니다. 따라서 토자자는 직접 주식을 투자하는 것과 유사하게 원하는 시간과 가격으로 ETF를 거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대주를 통한 주가하락의 리스크관리 수단으로서도 유용합니다. 그리고 소액자금으로 전체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도 가능합니다.
ETF요건
유가증권에 관하여 그 종류에 따랄 다수 종목의 가격수준을 종합적으로 표시하는 지수 중 다음과 같은 요건을 갖춘 지수의 변화에 연동하여 운용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 코스피, 코스닥과 같은 국내외 시장지수로서 -지수구성종목이 10종목 이상이고 - 지수를 구성하는 하나의 종목이 그 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0%를 초과 하지 않아야 합니다.
그리고 당해 ETF 간접투자증권의 환매가 허용되어야 하며, 당해 ETF간접투자증권이 투자신탁 설정일 또는 투자회사 설립일부터 30일 이내에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거나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야 합니다.
'하로의 생활경제 > 펀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산운용회사의 지켜야 할 준칙 (0) | 2013.03.16 |
---|---|
자산운용회사의 행위준칙에 대해서 (0) | 2013.03.15 |
채권형펀드 (0) | 2013.03.11 |
단기금융간접투자기구 MMF (2) | 2013.03.10 |
재간접투자기구 한도규제 (0) | 2013.03.04 |